기사 원문 링크 : http://www.boannews.com/media/view.asp?idx=46843&skind=O
요약 : 여러 악성앱과, 악성 URL, 랜섬웨어의 유포 기승
cab파일을 확인하는것이 왜 악성 파일인가?? 궁금..
CAB 파일( cabinet file ) : MS의 프로그램에서 여러개의 압축된 파일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파일 형식
대게 .cab의 확장자를가짐.
저장공간과 SW배포 시간을 절감시킴, 캐비닛 파일들은 설치하는 중 압축이 풀림.
파밍( Pharming ) : 새로운 피싱기법 중 하나, 사용자를 조작된 가짜 사이트로 접속하도록 유도하는 것
피싱은 진짜와 유사한 가짜 도메인을 개설한 뒤 광고등을 통해 접속을 유도 하지만
파밍을 도메인네임을 정확하게 입력하더라도 가짜 사이트에 접속 됨.
( 참고 : http://alyac.altools.co.kr/SecurityCenter/Issue/CommonSenseView.aspx?id=20 )
'Study > News Scra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06] 금요일마다 이뤄진 금융사 디도스 공격에 긴장 고조, 확산 예의주시 (0) | 2015.07.10 |
---|---|
[05] 산업용 사물인터넷의 발달, 긴장은 보안의 몫 (0) | 2015.07.08 |
[03] 데이터 규제 완화 `핀테크 2.0` 시대 개막 앞당기나 (0) | 2015.07.02 |
[02] 랜섬웨어 曰, 오늘의 백업을 내일로 미루지 말라 (0) | 2015.07.01 |
[01] 의료업계가 표적이 되는 이유 : 클라우드의 오용 (0) | 2015.06.30 |